웹서버에 로그인 하기

HTML을 공부하게 되면,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form>태그와 입력받은 데이터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submit>태그를 배우게 된다. 하지만 이 태그들은 웹서버와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하기 때문에 내가 구축한 웹서버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면 테스트 조차 진행할 수가 없다. 시놀로지 장비에 웹서버와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해 놓은 사용자라면 위에서 언급한 <form>태그와 <submit>태그를 활용하고, 웹서버에 구축해 놓은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 Read more

시놀로지 MariaDB 및 phpMyAdmin 설치

앞서 시놀로지 패키지 센터가 제공하는 아파치 서버 및 Web Station의 설치를 통해 웹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살펴 보았다. 다만, 웹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데이터베이스 연동이 불가피하다. 시놀로지 패키지 센터는 MySQL과 동일한 소스 코드를 기반으로 하며 GPL v2 라이선스를 따르는 MariaDB, 그리고 MariaDB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웹기반 관리도구인 phpMyAdmin 설치 패키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의 설치를 통해 나만의 데이터베이스를 손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는 이 두가지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시놀로지 웹서버 구축하기

시놀로지 서버의 패키지 센터에는 아파치 서버 및 Web Station 패키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 Apache 서버와 Web Station을 설치하면 누구나 손쉽게 나만의 웹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는 DSM(DiskStation Manager) 7버전을 토대로 웹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 보도록 한다.

파생 클래스 예제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파이썬에서 클래스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로 분류할 수 있고, 자식 클래스는 파생 클래스 라고도 불리운다.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에서 상속받은 속성과 메소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클래스의 생성 (부모 클래스) 아래와 같이 car라는 클래스를 만들어 보자. 이 클래스는 자동차의 모델과 색상을 입력 받아서, 이들 … Read more

시놀로지(DS918+)에서 시놀로지(DS213j)에 접속하기

나는 시놀로지가 2대 있다. DS918+는 외부접속을 위해 사용하고 있고, 오래 전에 구입했던 DS213j는 DS918+의 일부 내용을 백업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있다. 실제 백업은 rsync를 이용해서 폴더별로 수동 실행을 시키고는 있지만, DS918+에 존재하는 자료 중에 버리기는 아깝고 남겨두기는 불필요한 자료들이 여기저기 쌓여갔다. 이러한 자료들을 위해서 DS213j에 보관소를 마련하고, DS918+에서 불필요한 자료를 이동시켜 보관하고 있다.

MAC의 전원관리 옵션 – pmset

내 맥북프로 2019의 부팅이 매끄럽지 않다. 부팅 중에 잠시 멈췄다가는 다시 부팅하기를 한두번 진행 되고 난 후에야 암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잠자기 모드에 들어간 후에 맥북의 뚜껑을 열면 나도 모드게 부팅이 진행되어 암호를 넣으라는 창이 표시된다. 조금 시간이 지난 문서인 듯 하지만, 맥북의 전원관리를 설정하는 pmset 명령에 대한 인수와 예제에 대한 Wikipedia의 내용을 이곳에 한글로 번역해 보았다.

Karabiner 설치없이 오른쪽 CMD키로 한/영 변환하기

내 맥북 프로의 부팅 과정이 심상치 않다. SMD 리셋도 실행해 보고 NVRAM 리셋도 실행해 보았지만 소용이 없다. 인터넷을 이리저리 둘러보니 Microsoft Windows에 익숙해진 한/영 변환의 습관을 유지하기 위해서 Karabiner를 설치한 것이 유력한 원인 중의 하나란다. 지푸라기 하나라도 잡아본다는 심정으로 Karabiner를 삭제해 보았다. 역시나… 내 맥북의 시동은 매끄럽게 한번에 시동되지 않는다. 여하튼 일단 Karabiner은 다시 설치하지 않기로 마음 먹었다. 하지만, 한/영 변환의 불편함은 여전하다. 또 다시 인터넷을 여기저기 찾아보니 또 다른 방법이 있다고 한다. 그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여, 다음에 설치할 때는 오늘과 같은 삽질을 피하고자 한다.

OpenCV 설치, PC & Visual Studio 환경설정 – 개정버전

이전에 동일한 제목의 글을 게재한 적이 있다. 그 당시에는 Microsoft Windows 10에 OpenCV 3.2.0과 Visual Studio 2015를 이용하여 OpenCV 코딩 환경을 구성하는 내용이었기 때문에, 언젠가는 최신의 OpenCV와 Visual Studio에서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는 글로 업데이트 해야겠다고 생각만 하고 있었다. (이전글은 여기를 참조)
이번에 노트북을 새로 얻게 되어 Microsoft Windows 11에 OpenCV 4.9.0과 Visual Studio 2022를 설치하게 되었고, 이 조건에서 OpenCV 코딩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공유 한다.

OpenCV를 이용하여 ipTIME C300 비디오 녹화하기 [Python]

심심풀이로 ipTIME사의 C300이라는 홈캠을 구입하게 되었고, 제품이 도착 하자마자 잔뜩 기대를 품고 제품을 개봉하여 바로 설치해 보았다. 자그마한 크기에 손쉬운 설치, 깨끗한 영상에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만족할 만한 감도 뿐만이 아니라 Pan/Tilt도 지원하여 꽤나 만족스러운 기능과 성능을 보이는 제품이었다. 단점을 꼽자면, 30FPS에 한참 못 미치는 초당 전송속도에 가장 큰 실망은 ONVIF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부분이었다. 즉, 내가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자유자재로 내가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활용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 물론, 지금의 나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는 없지만……